여성폭력 예방과 근절, 폭력 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위해
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.
발간자료
-
청소년 성착취 피해 상담채널 ‘디포유스’ 홍보 리플렛
본 리플렛은 온라인 청소년 상담채널 ‘디포유스’ 와 성착취 예방 및 피해 지원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.1) 청소년 상담채널 ‘디포유스’ 정보,2) 성착취 예방 및 대응 웹툰,3) 피해 대처 방법,4) 지원 내용 및 기관 소개
-
디지털 성범죄 유포 및 유포불안 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보고서
본 연구보고서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 경험과 회복에 대한 연구로 피해특성, 회복의 위험 및 보호요인, 회복전략에 대한 국내외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, 디지털 성범죄 피해 생존자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피해단계별 회복전략 마련 및 피해회복을 위한 실질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.
-
스토킹 피해 진단도구(체크리스트)·해설서
스토킹 피해 진단도구(체크리스트)는 다양한 유형의 스토킹 행위 여부를 판단·인지하여, 주변 또는 기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.
-
한국여성인권진흥원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5주년 기념 토론회 자료집
[주제] 디지털 성범죄 피해지원 발전방안 모색 _ [발표1] 디지털 성범죄 삭제지원 현안 및 제언, [발표2] 디지털 성범죄 상담지원 현안 및 제언, [발표3] 삭제지원 플랫폼 변화추이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모색, [발표4] 디지털 성범죄 유포 피해 경험 사례 분석을 통한 실질적 개입 방법 모색
-
2023 전문가포럼 자료집
-
여성과 인권 vol.29
[특집] 군 성폭력 근절을 위한 노력과 한계, [현장연구] 2023년 상반기 여성폭력방지 및 피해자 지원 관련 쟁점, [이슈&피플], [판례분석], [정보마당]
-
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홍보 리플릿
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사업 소개 및 피해 지원 안내1. 지원 내용2. 지원 현황 및 지원 절차3. 전국 지원 기관4. 상담 접수 경로 등
-
2022 해바라기센터 연감
2022년 1년간 해바라기센터에서 제공한 피해자 지원 서비스 내용으로, 「해바라기센터 현황」, 「해바라기센터 이용 현황」, 「해바라기센터 지원서비스」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.
-
2023년 상반기 여성인권포럼 자료집
[발표 1] 약물 이용 성폭력 피해의 법률·상담 지원 사례(김태옥)[발표 2] 향정신성 의약품에 의한 여성폭력 피해자의 의료지원 방안(박지은)[발표 3] 버닝썬 이후: 클럽 내 성폭력과 약물 강간(최별)[발표 4] 주요국의 약물 이용 성범죄(DFSA)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(전윤정)[토론 1] 약물 이용 성폭력 관련 피해지원제도 개선 방안(조소연)[토론 2] 약물 이용 성폭력 관련 법적 쟁점 및 개선 방안(장다혜)
-
2022 성매매 피해아동·청소년 지원센터 연차보고서
2022년 1년간 전국 성매매 피해아동·청소년 지원센터에서 제공한 지원 서비스 내용으로, 「성매매 피해아동·청소년 지원 사업 소개」, 「성매매 피해아동·청소년 지원 현황」, 「지원센터별 사업 및 활동」, 「전국 지원센터 현황, 통계 자료」로 구성되어 있다.
-
2022 여성폭력초기지원현황보고서
2022년 1년간 전국 여성긴급전화1366에서 수행한 상담통계 분석과 전국 센터별 사업실적이 수록되어 있다.
-
2023 학술 콜로키움 자료집
2023년 일본군‘위안부’문제연구소 학술 콜로키움 <그곳에서 발견된 것: 위험한 여성, 25년 후> ▲ 1부: 『위험한 여성: 젠더와 한국의 민족주의』 다시 읽기 ▲ 2부: 쟁점토론: 일본군‘위안부’문제의 초국적 맥락
-
2022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연감
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2022년 한 해 동안의 주요 활동과 성과를 담은 연감을 발간했습니다. 이번 연감이 지난해의 성과를 되짚어보고 본원 추진사업의 이해를 돕는 자료로써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기를 희망합니다.
-
2022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
2022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보고서는 한 해 동안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서 지원한 피해자 지원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. 보고서에는 「센터 개요」, 「피해자 지원 실적」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, 관련 수치와 현황을 그래프로 나타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.
-
2022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사업 운영보고서
본 운영보고서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2022년 여성폭력피해자지원기관 네트워크 사업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. 보고서를 통해 △8개 시도별 여성폭력피해자지원기관 통합연대회의 논의사항, △이주여성, 정신적 장애여성 지원을 위한 이슈간담회 논의사항 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본 저작물은 "공공누리 제4유형 : 출처표시+상업적이용금지+변경금지"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개인 외 기관 등에서 활용 목적으로 다운로드 시 활용 전 담당자에게 문의 바랍니다. 홍보 담당자